본문 바로가기

일상과 소비의 기록

지나가는 봄을 아쉬워 하며, 냉이 김밥과 당근 김밥

반응형

 

피크닉을 가기엔 날씨가 아직 추운데, 무심하게도 봄은 지나가고 있습니다.

봄 기분을 낼 겸, 냉이 두 팩을 사다 냉이 김밥과 당근 김밥을 돌돌 말아 보았습니다.

 

🌱 냉이의 효능

냉이는 대표적인 봄나물로,

  • 비타민 A, C, 칼슘, 철분이 풍부해 눈 건강과 면역력 향상에 좋아요.
  • 해독 작용간 기능 개선에도 도움을 줍니다.
  • 특히 식이섬유가 풍부해 봄철 나른함을 이겨내는 데 제격이에요.

🌿 달래의 효능

함께 곁들인 달래장에 쓰인 달래도 봄철 보약이라 불리는 나물이에요.

  • 알리신 성분이 풍부해 피로 회복과 항균 작용에 좋고,
  • 비타민C와 칼슘이 풍부해 뼈 건강과 혈액 순환에 도움을 줍니다.
    특유의 알싸한 향이 식욕을 돋워주죠.

 

 

 

김밥을 정말 못 말아서 정통김밥은 도전 조차 하지 않는 편인데, 제철 김밥은 파는 곳이 없으니 이렇게라도 도전하게 됩니다.

 

 

(1) 냉이 두팩을 손질해, 한 줌은 된장국 용으로 빼두고 나머지를 끓는 물에 50초 정도 데쳐줍니다.

(2) 데쳐둔 냉이는 들기름과 액젓(이 없어 저는 간장)으로 간을하고 무쳐줍니다.

(3) 현미 햇반 두 개를 데워, 참기름과 소금으로 간을 맞춰줍니다.

(4) 물기 쪽 빠진 냉이를 넣고, 김밥을 돌돌 말아줍니다.

     어차피 못생겨질 모양 냉이를 최대한 많이, 밥을 적게 넣어줍니다.

     위 분량으로 쪼그라든 김밥 4줄이 나왔어요.

(5) 참기름 묻혀 듬성듬성 김밥을 썰어줍니다.

* 전 색감을 맞춰보려고, 당근라페도 동일하게 김밥을 싸주었어요.

  햇반 두 공기로 통통하게 세 줄 말아줬습니다.

 

두 김밥 다 간이 쎄지 않은 터라, 집에 있는 달래장과 할라피뇨를 곁들이고

남아있는 냉이는 애호박만 반개 넣어 김밥과 함께 먹을 된장국을 연하게 끓여 줍니다.

달래장과 냉이 김밥의 조합

 

할라 피뇨와 당근 라페 김밥(현미밥)의 조합

 

액젓이 없고, 마늘을 넣지 않아 냉이 간이 아주 심심했는데 그게 오히려 반찬들과 잘 맞았어요.

 

흙냄새나는 봄을 한껏 먹은 기분.

어렵지 않은 재료로, 봄이 지나가기 전 냉이 김밥 추천합니다.

 

반응형